스프링 설계 시 알아야 할 것_치수재기
1. 스프링 역설계하기위한 스프링 용어
- 스프링 역설계 시 봐야 할 점
* 자유장 길이
* 총권수 / 유효 권수
* 선경 (굵기)
* 외경
(준비물 : 버니아캘리퍼)
2. 위와 같은 순으로 치수를 재기.
* 자유장 길이란 스프링의 총 길이를 말하는 것이다.
이미지를 보면 스프링 총길이가 84mm이란 것을 알 수 있다. 즉, 자유장 길이도 84mm 이다.
실제 스프링을 보면 단면으로 절단되어 총 길이를 간단하게 버니아캘리퍼로 잴 수 있다.
* 총 권수란 : 스프링이 돌아가는 시점부터 돌아가는 줄의 수
(EX. 위 이미지에서 보면 총 권수는 8개 인걸 알 수 있다.)
* 유효 권수란 : 스프링 선경 손상이 없는 시점부터 돌아가는 줄의 수
(주의 할 점 . 스프링 선경 손상이란 스프링 절단 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.)
위 이미지를 보면 빨간펜으로 표시 된 부분은 스프링 절단시 발생 된 손상 부분이다.
따라서, 유효 권수는 스프링 손상 부분을 제외하고 돌아가는 줄수를 보면 알수 있다.
(EX. 위 이미지에서 유효권수는 7개라는걸 알 수 있다.)
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미지화 해보자.
위에서 봤을때 원이 다 그려지면 1권수라 생각하자. 단, 절단으로 손상된 제외한 부분에서 원을 그리는 시작점으로 둔다.
* 선경이란 : 원을 곡선방향으로 무한으로 나열하면 스프링이 되듯 선경을 원의 지름으로 보면 알기 쉽다.
단순하게 위 이미지에서 빨간부분을 버니아캘리퍼로 재면 쉽게 알 수 있다.
* 외경이란 : 스프링의 외형 지름을 말한다. (설명이 쉽게 이미지를 참고)
단순하게 이미지에서 빨간 부분을 버니아 캘리퍼로 재면 알 수 있다.
오늘은 스프링 역설계시 스프링에 필요한 치수재는방법을 소개해봤습니다.
단어가 생소해서 그렇지 막상 보면 간단하게 치수를 잴 수 있으니 쉽게 따라해 보셔도 될듯 하네요!
다음에는 3D모델링으로 직접 스프링 설계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